LEICA DG SUMMILUX 15mm F1.7 ASPH

찰떡이가 태어날 날이 얼마 남지 않아 한 손으로 들고 찍을 수 있는 가벼운 e-m5에 물릴 밝은 광각 단렌즈가 필요해 마침 일본에 출장간 동생에게 사다 달라고 부탁했더니 어제 귀국해서 집에 배달해 준 렌즈다.

요새 엔화 환율이 낮아서 수입사가 파는 것과 가격차가 꽤 난다. AS는 어차피 일이년 지나면 정식 수입품이나 내수품이나 별 차이 없을테니 내수품이라고 크게 개의치 않는다.

생각보다 무지 작더라.

구성품도 단촐하다.

조리개링은 내 올림푸스 바디에서 아무 동작을 안한다고 한다. 파나소닉 바디로 기변을 해볼까 하는 맘이 살짝 들었다.

근데 색이 그다지 맘에 들지 않는다. 뭔가 플라스틱에 은색 도료를 발라놓은 느낌이랄까…

루믹스는 파나소닉 미러리스 이름인가. 파나소닉쪽은 전혀 아는바가 없다.

내 올림푸스 바디에 마운트한 모습은 이렇다.

사진으로는 덜 한데, 금속재질임에도 불구하고 직접 보면 꼭 플라스틱 재질처럼 보인단 말이지… 올림푸스 17mm 는 무척 고급져 보이던데, 마찬가지로 그것도 사진발이려나.

테스트로 찍어 본 사진들. 최대 개방의 배경날림이 어느정도인지가 궁금해서 최대 개방으로만 찍었다.

최대 개방인데도 해상력이 훌륭해 보인다. 번들렌즈보다 확실히 더 나아 보여.

하지만 마이크로포서즈 규격에서 얕은 심도를 기대하는 건 역시 무리였나… 광각렌즈인걸 감안하더라도 그닥 배경이 날아가지 않는구먼. 일단 렌즈알 크기만 봐도 쪼그마한 것이 나는 배경 날리기 용도는 아니오 하고 말하는 듯 하다. 원체 센서 크기가 작으니 렌즈알도 작아지는 것은 당연한 것일텐데 커다란 눈망울이 자꾸 눈에 밟히네.

라이카 LEICA DG 주미룩스(수미룩스?) SUMMILUX 라는 거창한 이름을 달고 있는 이 물건, 무척 작은 크기에 af 잘 잡히고, 만듦새도 훌륭하고, 해상력 좋고 가격만 제외하면 만족스럽다.

사실은, 이 렌즈가 돈 값을 할까에 대해서, 라이카 딱지만 붙인 이 파나소닉 제조 렌즈가 얼마나 좋겠어 하는 생각이 반, 그래도 라이카 딱지가 붙었는데 이름값은 하겠지 하는 생각이 반이었는데, 테스트로 몇장 찍어본 지금 아직 그 생각엔 변함이 없다. 현재 보유중인 렌즈 중 2번째로 비싼 렌즈니 내게는 꽤 고가 축에 속하는데 그 만한 값어치를 하는지는 아직 잘 모르겠고, 좀 더 써 봐야 알것 같다.

끝.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